거창의 가북면 용암마을에 눈이 내리니 지난해 눈길에서 길을 묻던 70대 노인이 생각납니다.
“두 살 위인 형이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이곳 용암마을에서 전사했다는 소식을 듣기는 하였지만 시신이 어디 묻힌 줄 몰라 가끔씩 이 마을에 와서 길가에 소주 한 잔 부어놓고 산을 향해 절만 하고 간다.”고 하였습니다.
이 이야기를 듣고 용암마을 노인들에게 물어보니 종종 그런 일이 있다며 6.25전쟁 당시의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인천상륙작전이 있은 후 북으로 후퇴하던 북한군 1개 사단이 퇴로를 잃어 가야산과 우두산 일대로 숨어들었다고 합니다.
그러자 국군 3개 사단과 경찰병력이 북한군 토벌작전에 나섰는데 밤에는 북한군이 양식을 구하러 마을에 들어오고, 낮에는 국군과 경찰이 음식을 달라고 하였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 북한군은 군기가 서서 민가에 행패를 부리지 않았는데 한 번은 한 사병이 닭을 잡아가려다가 장교에게 들키자 장교는 그 자리에서 사병을 권총으로 사살해버리는 광경을 목도했다고 합니다.
반면에 국군과 경찰은 밥상과 술상을 차려서 오라하고 반찬이 없으면 ‘우리가 당신들을 지켜주는데 대접이 이게 뭣이냐!’며 밥상을 차버리는 행패까지 부렸다고 합니다.
또 이런 일도 있었다고 합니다.
북한군은 절대 큰길을 다니지 않고 산길을 다니고 국군과 경찰은 주로 큰길을 다녔는데 하루는 경찰 1개 중대가 동네 앞 큰길을 가다가 잠복해 있던 북한군에 의해 전멸된 적이 있다고 합니다.
그렇게 밀고 밀리는 전투를 하다가 이 동네 이름의 용바위(용암) 고지에서 몇날며칠을 콩을 볶듯 총성을 울리며 총력전을 하다가 결국 북한군은 괴멸되었지만 아군의 사상자 또한 북한군의 수보다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고 합니다.
당시 군인이 아닌 마을 청년들은 사망한 국군의 시체를 거적때기로 운반하며 부상병을 업어 나르기도 하고, 총포화기를 지게로 저다 나르는 부역에 동원되기도 하였답니다.
지금도 죽바우골이라는 곳에 가면 북한군이 은거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돌무더기 참호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데 눈이 내리는 이런 날에 그들의 춥고 배고픈 참상이 어떠했을 것인지를 생각하면 가슴이 저리기도 합니다.
새벽 포행길에 이곳을 다니면서 처음에는 그 원혼들이 나타날까 겁이 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차츰 그들이 겪은 고통을 내 고통으로 받아들이면서부터 만일 원혼들과 마주친다면 기꺼이 손이라도 녹여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자 오히려 그곳이 안온하게 느껴지게 되었습니다.
나는 이곳의 이런 이야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기록하고자 거창군의 도서관과 문화원을 찾아 기록을 찾아보았으나 전혀 흔적이 없었습니다.
거창군의 6.25전쟁사에서 반공연맹 양민학살 사건으로 죽은 원혼들은 위령비라도 세워 위로하고 있지만 그 보다 사상자 규모가 몇십 배 되는 용바위골 전투 사상자의 시신과 원혼들은 눈 내리는 산야 어디에서 잠들어 있는지?
용암마을에서 전사하여 시신조차 거두지 못한 원혼들과 제단도 없이 산만 쳐다보고 절을 하고 가는 유족들을 위하여 지금이라도 누군가가 나서서 위령비 하나쯤은 세워주는 것이 도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지자체나 국가가 나서서 좀 더 증언들을 채집하고 기록들을 조사하여 한국전쟁사의 기록으로 남겨지기를 바랍니다.
'용암선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0년대를 풍미하던 오미자 & ... (3) | 2014.02.10 |
---|---|
천하보검의 참구 (2) | 2013.12.11 |
군불과 나. (0) | 2013.12.10 |
도와 부처가 있는 길. (1) | 2013.12.10 |
무심코 지나친 ‘나’를 찾아서... (0) | 201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