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와 산

남과 여. 로망과 로맨스. 그리고 세컨하우스

남과 여. 로망과 로맨스. 그리고 세컨하우스 자세히보기

생태도시 만들기

창원시 도시계획 이대로는 안 된다.

선비(sunbee) 2010. 9. 11. 23:32

 

창원시 도시계획 이대로는 안 된다.


 창원시 도시기본계획상의 용도지역별 면적을 1984년과  2005년으로 비교해 보면 주거지역은 15.638㎢에서 26.903㎢로 72%,  공업지역은 19.300㎢에서 21.706㎢로 12% 정도 증가하였다.


창원시 도시계획 용도지역 면적 비교

구분

단위

합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

시가화 예정용지

미지정 지역

84년 기본계획

217.868

(100%)

15.638

(7.2)

2.817

(1.3)

19.300

(8.8)

180.113

(82.7)

    -

   -

2005년 기본계획

296.452

(100%)

26.903

(9.0)

3.422

(1.2)

21.706

(7.3)

225.517

(76.1)

12.898

(4.3)

3.078

(1.0)

증가율

%

36%

72%

21%

12%

25%

100%

100%


 이 수치는 창원이란 도시가 성장하면서 인구는 늘어나는데 비해 생산시설 공급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음을 단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공장부지 땅값이 인근 마산의 진북이나 함안지역의 땅값에 비해 턱없이 비싼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구와 주거지역은 급팽창을 한데 비해 공장용지 공급이 제자리걸음을 하면 기업들은 외곽지역에 공장을 지을 수밖에 없고, 근로자들은 시 외곽으로 장거리 출퇴근을 해야 하고, 장거리 출퇴근은 그만큼 자동차 연료소모와 대기오염의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1978년에 작성된 창원의 신도시 설계서를 보면 박정희 대통령의 혜안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1980년대 중반 이전부터 창원에 살던 사람들은 당시의 창원모습을 기억할 것이다.


 공업지역에 가까운 창원대로변과 반송, 토월지역에는 인구 밀도가 높은 아파트만 있고, 그 배후인 명곡, 사림, 사파동 지역에는 저밀도 단독주택만이 건립되어 있었다.

 그러던 것이 1989년 200만호 주택건설을 계기로 창원의 모습은 창원신도시설계의 틀을 벗어나 사실상 무계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창원을 계획도시, 전원도시라 함은 1989년 이전의 창원을 일컫는 말이라 필자는 감히 단언하는 바이다.


 박정희 대통령이 공단지역과 가까운 곳에 고밀도아파트를 배치한 이유는 공단근로자들의 출퇴근 거리를 최대한 단축하고자 함이었다.

 그리고 저소득 공단근로자들이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 할 수 있도록 자전거도로를 계획하였던 것이다.


 30년이 지난 지금 그 시절을 되돌아본다면 감히 누가 그런 발상을 할 수 있었겠는가 하고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역대 창원시장들은 지금의 살기 좋은 창원이 자신의 치적인 냥 자랑들을 하건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이 모두가 박정희 대통령의 음덕임을 모르고 하는 말이다.


 또 하나 짚고 넘어가야 문제가 있다.


 창원군이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마산, 진해, 창원으로 갈라졌다가 다시 통합이 되어 새로운 창원시로 출발하면서 앞으로 30년 후의 창원모습이 어떻게 되어야 할 것인가를 우리는 깊이 고민해 보아야 한다.




 이런 고민 중 우선하여 고민해야 할 과제가 39사단 이전부지의 이용에 관한 문제이다. 필자는 지난 3월, 4월에 기자회견과 심포지엄 등을 통해 수차에 걸쳐 이 지역에 대단위 아파트를 건설하는 것은 도시를 망치는 일이라 누누이 강조한 바 있다.


 39사단부지는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유일하게 남아있는 노른자위 땅이다. 이런 귀한 공공재산을 당장 하기 쉽다고, 보기 좋다고 하여 덜렁 민간사업자를 끌어들여 아파트를 짓겠다고 고집만 할 것이 아니라, 10년 뒤 혹은 30년 뒤에 우리 시민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곰곰이 생각해 주었으면 한다.